업무상 파일을 주고받을 때도 압축파일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보급형 개인 미디어 장비의 발달로 인해 많은 분들이 여가 시간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 촬영을 가여 가족이나 지인과 공유를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용량이 크다는 이유나 개수가 너무 많다는 이유 때문에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심지어 카카오톡으로 전송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압축을 해제하기 위해선 압축해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도 필요 없고 이용요금도 없는 무료 프로그램인 알집을 이용하여 압축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니 알집이 깔려 있지 않는 분 께서는 아래 글 참고 하셔서 알집을 먼저 설치해 주셔야 압축하거나 압축 풀기가 가능하니가 참고해 주세요.
zip파일 압축하기 위한 알집 무료 다운로드 방법
이메일로 자료를 보내려면 개수 제한과 용량 제한이 있고, 카카오톡이나 문자로 파일을 전송하려 해도 용량 제한에 걸려 전송에 애먹은 적이 있으셨을 텐데요. 이럴 경우 파일압축 프로그램을
tip-how.tistory.com
알집 사이트에 접속해서 다운로드와 설치과정을 모두 마무리하셨다면 아래의 설명에 따라 순서대로 천천히 따라오시면 됩니다.
압축파일 준비
상대방에게 전송받은 압축파일이나 기존에 압축해 두었던 압축파일을 준비해 주세요. 파일이 준비되었다면 파일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두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면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들이 보이실 겁니다. "여기에 압축해제"를 누르세요.
설명을 위하여 "자료"라는 이름으로 압축되어 있는 파일을 해제해 보도록 할 건데요. 여러분은 원하는 zip파일 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어떠신가요? 클릭 한 번으로 압축이 풀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압축이 풀리긴 했지만 만약 많은 양의 자료가 압축되어 있는 파일을 바탕화면에 놓고 "여기에 압축해제"를 선택하셨다면 바탕화면이 수많은 자료들로 도배가 되는 좋지 않은 경험을 하게 되실 겁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른 폴더를 하나 만들어서 "여기에 압축해제"를 하시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나오는 기능들 중에 "파일이름"에 압축 풀기 기능이 있습니다. 저의 경우 "자료" 폴더에 압축 풀기가 아래와 같이 표시되는 것 보이시죠?
이렇게 실행하시면 "자료"라는 폴더를 새로 생성하고 압축되어 있던 파일들을 보관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자료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라면 폴더에 압축 풀기를 이용하시는 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이 외에도 안전폴더에 압축 풀기나 지정하는 폴더에 압축을 푸는 방법이 있지만 위에 방법만으로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고 심지어 더욱 빠르게 같은 결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별로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은 방법입니다.
신기하지 않으신가요? 버튼 한번 클릭으로 하나로 묶여 있던 파일이 원래의 상태로 여러 개의 파일로 분리되는 기능? 반대로 클릭 한 번으로 용량이 큰 파일이나 많은 양의 사진 혹은 파일을 하나의 zip파일로 깔끔하게 정리해서 보관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도 있으니 압축하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 되실 거예요.
알집으로 간단하게 zip파일 압축하는 방법
zip파일로 압축을 하고 싶은데 마땅한 프로그램을 찾기 못해 고생하신 경험 있으실 거예요. 무료 이면서도 직관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는 파일 압축 프로그램 하나 알려 드릴게요. 저 역시 이 제
tip-how.tistory.com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익힌다는 것은 상당히 흥미롭지만 쉽지 않은 일인 것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어려운 듯 하지만 몇 번 다루다 보면 소중한 자료를 용량을 줄여 보관하고 전송하는데 큰 도움이 되실 거라 확신합니다.
댓글